Finance(60)
-
국채에는 어떠한 세금이 부과될까?(feat. 미국채, 한국채)
1. 최근 주식과 더불어 채권에도 투자하는 개인투자자들이 많아지고 있음.2. 채권이 주식보다 어떻게 보면 세테크를 할 수 있어서 더욱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는 것 같음.3. 이표채를 예를 들어 설명해보겠음.4. 이표채는 채권 중 표면금리가 있는 채권을 말하고, 이자와 원금을 주는 형태임. 이와 달리, 할인채는 채권의 액면가를 할인해서 최초에 팔고, 만기때 액면금액을 받는 구조임. 즉, 이자지급의 흐름이 없음.5. 가령, 만기 1년, 표면금리 연 4%, 액면금액 1억, 이자 만기일시지급인 이표채를 가정하면, 1년 뒤 만기시점에 채권발행기관은 1억400만원을 채권인수인에게 줘야함. 이때 채권인수인은 400만원에 대한 이자소득세를 내야함.6. 하지만, 채권은 만기까지 들고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팔 수도 ..
2025.01.22 -
한국국채금리는 왜 떨어지고 있을까(Feat. RP매입, 한국은행, 물가)
1. 한국의 국채금리는 점점 떨어지고 있음.2. 위는 한국의 3년물 국채수익률로, 점점 떨어지고 있음.3. 이는 한국은행이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가 선반영이 된 것도 있지만, 그것보다 더 떨어지는데는 사실 기발행된 국채의 가격이 올라갔기 때문임. 기발행된 국채의 가격이 올라간다는 말은 국채금리가 낮아진다는 말과 같은 말임. 국채의 가격과 금리에 대해서는 기존 블로그 글에서 설명한 바 있음.4. 최근에 국채의 가격이 올라간 이유에는 한국은행의 RP매입이 관련이 있음.5. 한국은행은 금융시장의 안정 등을 위하여 RP매입을 통하여 기존 발행된 국채 등을 담보로 금융기관에 일시적으로 자금을 공급함.6. 이후 RP만기가 되면 이를 정해진 수익률로 팔기 때문에 유동성이 다시 흡수된다고들 많이 생각하는데, 사실..
2025.01.16 -
RP는 발행된 채권일까?(Feat. RP의 본질, RP 본질 쉽게 설명)
1. 요즘 RP에 대한 기사들이 많이 나오고 있음.2. 네이버 등에 찾아보면, RP는 환매조건부채권이라고 표현하고 있음.3. 해당 용어로 인하여, 흔히 우리가 생각하는 ABCP, ABSTB, 실물사채, 회사채 등 발행주체가 발행하는 채권으로 생각들을 많이 하고 있는 듯함.4. 하지만, RP의 핵심은 채권 자체가 아닌 "기발행된 채권을 담보로 한 약정"임. 즉, RP는 약정인 것이고, 해당 약정에 기하여 자금을 조달하면서 담보로 맡긴 채권을 특정 수익률로 사오겠다는 약정인 것임.5. RP라는 새로운 회사채와 같은 실물채권을 발행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에 가지고 있던 채권을 담보로 해서 그 채권을 얼마에 사오겠다는 약속을 하는 것임.6. 그래서 RP 계약을 보면, 담보로 맡기는 채권이 국채 등이 많은 것임...
2025.01.15 -
중도상환수수료란 무엇인가(Feat. 13일부터 중도상환수수료 절반으로 인하, 소급적용?)
1.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중도상환수수료 개편방안을 오는 13일(2025. 1. 13.)부터 시행한다고 밝힘.2. 중도상환수수료는 돈을 빌린 채무자가 은행 등에 돈을 갚을 때 일찍 갚는 대신 수수료를 내는 것을 의미함.3. 통상 갚는 돈에 일정 요율을 곱한 금액을 수수료로 내야함.4. 이러한 수수료가 있는 이유는 채무자도 기한의 이익이 있지만, 채권자도 기한의 이익이 있기 때문임.5. 위는 5대 시중은행의 중도상환수수료율을 비교한 표임.6. 위 제도의 시행과 관련하여 많은 차주분들이 묻는 것이 기존에 체결했던 계약에도 소급이 되느냐임.7. 아쉽게도 기존 계약에는 소급이 되지 않고, 13일 이후 신규 대출분부터 적용이 되는 것임.8. 다만, 기존 계약도 갱신하는 경우(대출금액 조정, 만기, 이자율 등 ..
2025.01.09 -
SPV란 무엇인가(Feat. StandbyLC 등)
1. 요새 국내에 자산시장이 상승함에 따라 외국에서 국내 자산시장에 투자하려는 수요가 많음.2. 이때 통상 SPV라는 형태의 별도 법인을 설립하여 진행을 하게 되는데, 이와 관련한 것들을 알아보고자 함.3. SPV는 Special Purpose Vehicle의 약자로, 특수한 목적을 가지고 설립된 회사 등을 지칭하는 말임.4. 통상 외국인들이 국내에 투자하는 경우, 상장회사의 주식을 사거나 그런 식으로 투자도 많이하지만, 특정 프로젝트에 투자를 하려는 경우에는 해당 프로젝트에만 관여하는 회사를 통해서 투자하고 싶은 마음이 큼.5. 그래서 해당 프로젝트에만 단발적으로 투자를 하는 SPV를 별도로 세워서, 해당 회사에 출자 등을 한 뒤, 그 회사를 통하여 부동산개발사업 등에 투자를 하는 것임,.6. Stan..
2025.01.09 -
PF 수수료 근황(Feat. 용역대가, 간주이자, 이자제한법, PF 수수료 개선 근황)
1. 부동산개발사업을 하다보면, 건물을 올리면서 PF대출을 통상적으로 받게 됨.2. 이때 금융기관은 PF 대출을 하면서, 대출이자 외에도 여러가지 명목의 수수료로 받아감.3. 그 이유는 이자제한법 때문임.4. 이자제한법에는 금융기관이 차주로부터 받을 수 있는 이자를 연 20%로 제한하고 있기 때문임.5. 이를 위반해서 수취하면, 이자제한법 위반이 되고, 그에 따른 법적처분을 받게 됨. 심지어 형사처벌까지 있음.6. 이때, 이자제한법을 회피하기 위해 금융기관들이 각종 수수료를 만들어냈고, 이러한 수수료도 이제 실제 용역의 제공이 없었다면 간주이자로 처리해서 연 20% 한도 내에서만 받을 수 있도록 하기로 함.7. 심지어 새로이 체결하는 약정 뿐만 아니라, 기존에 체결하였던 약정에도 이를 그대로 소급적용하기..
2025.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