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ance(60)
-
CJ CGV 신주인수권 가격 반토막(Feat.신주인수권에 대해서 알아보자, 법률 및 금융의 관점)
1. CJ CGV의 신주인수권의 가격이 반토막이 나는 등, 흥행에 실패하고 있음.2. 신주인수권이라는 단어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낯설 수 있으므로 이번 기회를 통해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함양하는 것이 좋아보임.3. 주식회사는 기본적으로 주주, 대표이사, 이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주주는 주식회사가 발행한 지분증권을 가지고 있는 는 보유자를 의미함.4. 주주는 회사의 설립당시 또는 설립이후 주식거래를 통해 회사의 주주가 됨.5. 회사가 돈이 필요할 때 돈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보면 2가지임. 하나는 (1)차입이고, 하나는 (2)증자임. 6. (1)차입은 개인이 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것처럼, 회사도 은행 등 기타기관으로부터 돈을 빌리는 것임. 이 빌린 것에 대한 대가는 이자와 원금을 추후 정해진..
2024.12.30 -
미국 국채 근황(Feat. 금리와 국채가격 사이의 상관관계, 최근 미국 국채가격 떨어진 이유 등 압축설명)
1. 최근 미국 국채가격의 변동성이 극심함.2. 우선 기본적으로 국가채권의 가격이 결정되는 로직을 알아보는 것이 좋음. 결국 국채라는 것은 국가가 발행한 채권이고, 그 채권이 팔리려면 일정수준 이상의 금리를 줘야함.3. 만약 내가 기존 국채를 원금 1억에, 이자율 연 5%로 샀다고 가정을 해보겠음.4. 1년물 국채라면, 내가 생각하는 현금의 흐름은 만기인 1년 뒤에 원금 1억과 그에 대한 이자 500만원을 일시에 수령하는 것임.5. 근데 채권은 예금과 달리 만기까지 들고 있을 필요가 없고, 중간에 이를 팔아서 현금화 할 수 있음.6. 그래서 나는 1년물의 중간인 6개월이 지난 시점에 내가 가지고 있는 채권을 팔려고 함. 근데 이때 시장에서 소화되고 있는 1년물 채권의 금리가 연 7%로 올랐다면, 아무도 ..
2024.12.30 -
역레포란 무엇인가(Feat. 유동성, 미국 증시 등)
1. 경제신문을 읽다보면, 유동성, 역레포 등 조금은 이해하기 힘든 단어들을 접하게 됨.2. 이번 글을 통하여 역레포와 유동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도록 함.3. 역레포는 Reverse Repurchase agreement의 약자로, 뉴욕연방준비은행이 RP매각을 통해 시장의 유동성을 흡수하는 것을 지칭함.4. RP매각을 한다는 것은, 시중은행으로부터 연방준비은행이 돈을 빌린다는 것을 의미함. 즉, 시중은행이 연준한테 돈을 빌려주고, 연준은 이에 대한 대가로 이자 및 원금을 나중에 돌려주는 것임.5. 역레포가 많다는 것은 그만큼 시중은행의 돈이 연방준비은행에게 일단 갔다는 것을 의미하고, 그만큼 시중은행에 시장에 풀 수 있는 돈을 연방준비은행에 맡겨둔 상태라고 이해하면 됨.6. 역레포 잔고가 많으면 시중의 유..
2024.12.27 -
신종자본증권이란(Feat. 채권? 주식? 채무? 자본? 등)
1. 신종자본증권은 주식과 채권의 중간적 성격을 가진 혼성증권으로 일정한 자본적 안정성 요건을 충족함으로써 은행 감독 당국이 은행의 기본자본으로 인정하는 증권을 말함.2. 만기가 없거나 매우 길며, 정기적으로 이자나 배당을 받는 신종자본증권은 영구채 성격을 가지고 있음.3. 통상만기는 30년 이상이며, 변제 우선순위가 후순위채보다 후순위임. 만기에 재연장이 가능하고 반영구적 성격을 띤다는 점에서 주식과 비슷함.4. 신종자본증권은 채무로 인식되지 않고, 자본으로 인식된다는 점에서, 더 이상 부채비율을 늘리고 싶지 않은 회사에서 자금조달의 수단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음. 5. 최근 이와 같은 효력으로 인하여 기업들이 신종자본증권을 많이 발행하고 있음.
2024.12.27 -
대한민국 상위 1% 자산 통계(Feat. 통계청)
대한민국 상위 1% 순자산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함.1%라는 숫자는 상징적으로 의미가 있음. 아래는 통계청에서 발표한 자료임. 가구 기준이며, 순자산은 전체 자산(부동산+금융자산)에서 부채를 뺀 금액. 작년 3월 말 기준으로 실시된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토대로 산출.우선 우리나라에서 50대가 순자산 기준으로 전국 상위 10%에 속하려면 12억5000만원 이상은 갖고 있어야 한다. 또 순자산 기준으로 전국 상위 1%에 속하려면 33억5000만원은 쥐고 있어야 한다. 50대의 순자산 평균은 3억2000만원 정도다. 조사 대상을 전국이 아니라 수도권으로 좁히면, 등급컷이 달라진다. 가령 수도권에서 상위 10%에 들려면 부채를 다 뺀 순수한 자금이 13억5000만원 이상이어야 한다. 반면 비수도..
2024.12.26 -
1인당 GDP 근황(Feat. 2년 연속 한국이 일본 앞서)
1. 1인당 GDP는 한 국가의 평균적인 국민의 모습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지표임.2. 내각부 발표에 따르면, 2023년 1인당 명목 GDP의 경우, 일본은 3만3849달러로, 한국의 그것인 3만 5563달러에 뒤지는 것으로 나타남.3. 일본은 한국에게 2년 연속 1인당 GDP가 역전 당했고, 이러한 추세는 쉽게 뒤집히지는 않을 것으로 보임.4. 전문가들은 이러한 이유를 일본의 장기 저성장과 함께 고질병인 엔저를 그 이유로 꼽고 있음.5. 엔저라는 것은 일본의 통화인 엔화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의미하는데, 1인당 GDP나 GDP의 경우, 국제 지표이기 때문에 달러로 표시되기 때문에, 개별 국가들의 화폐가치가 낮아질수록 달러로 표시되는 지표가 낮아지게 되는 것임.6. 이러한 이유로 최근 우리나라도 환율이..
2024.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