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사이드카 발동(Feat. 미국 관세, 트럼프, VIX 지수, 국제무역론)

2025. 4. 7. 10:27Finance

반응형

1. 금일 개장 2시간만에 코스피에서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됨.

2. 한국주식과 미국주식의 큰 차이점은 사이드카가 있다는 것임. 사이드카는 너무 큰 상승, 하락을 막기 위해서 있는 제도임.

3. 미국은 천조국답게 그 정도 진폭은 통제하지 않음. 신자유주의 끝판왕 나라다움.

4. 위는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VIX지수인데, 해당 지수는 현재 45를 넘어가고 있고, 상승률이 어마어마함.

5. 이렇게 한국주식 등이 하락하고, 변동성이 커진 배경에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지만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는 것은 트럼프의 관세정책임.

6. 보호무역주의의 일환으로 MAGA정책 중 하나인데, 문제는 미국이 이렇게 나오면 타국가들 역시 미국에게 관세를 역으로 같이 붙인다는 것임.

7. 국제무역론의 여러 모델들은 생산요소가 하나의 국가에 갇혀있지 아니하고, 여러 국가 간에 제한없이 이동할 수 있는 환경에서 국제경제성장이 극대화된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증명함.

8. 물론 그러한 모델들도 한계가 있기 하겠지만, 해당 모델들에 따르면 생산요소(자본, 노동, 기술)가 국가 間 자유롭게 이동해야 여러 나라가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것임.

9. 이는 자본주의의 핵심인 "분업"이라는 개념에서도 알 수 있음. 분업은 특정 회사 또는 사회가 여러가지를 다 하지 않고, 특정한 task만 하게 한 뒤, 그 task들을 합쳐서 최종 결과물을 내는 업무 형태임.

10. 분업의 장점은 특정집단이 특정한 일"만" 하기 때문에 업무효율성이 극대화되고, 이러한 업무효율성이 극대화된 채로 산출물이 생산되기 때문에 비용절감이 극대화됨.

11. 그에 따라 최종 산출물에서 얻어지는 부가가치가 커지고, 비용이 절감되므로 여러 집단들이 그 수확을 골고루 나눠가질 수 있는 것임.

12. 트럼프의 정책은 사실 신자유주의 내지는 자유주의 정책이 아니라, 극단적인 파시스트 정책에 가까움.

13. 니것과 내것을 가르고, 자국과 타국을 가르는 것은 위에서 언급한 생산요소의 자유로운 이동을 억제하는 것 뿐만 아니라 아예 이동을 막아버리는 역효과를 가져오게 됨.

14. 최종적으로는 국가 간 교역이 축소되고, 국가 간 분업이 되지 않음에 따라 전 지구적으로 축소사회에 들어갈 듯함.

15. 주식 등을 투자하고 있는 사람들은 당분간은 진입을 조심하거나, 충분히 하락하고 난 뒤에 들어가는 것이 좋을 듯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