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대출 등 받으려면 신용점수가 얼마여야 할까(Feat. 신용점수 평균 추이)
2025. 4. 8. 10:42ㆍFinance
반응형
1. 최근 가계대출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음. 대부분 부동산으로 흘러가는 대출들임.
2. 정부의 대출조이기 정책방향에 따라 신용점수가 높지 않으면 대출을 금융기관에서 하지 않으려고 하고 있음.
3. 위는 5대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대출 신용점수 추이임.
4. 각 주택담보대출, 전세대출, 신용대출이 나와있고, 940점 정도는 되어야 안정적으로 3개 종류의 대출을 받을 수 있음(시중은행 기준).
5. 사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대출이 자산형성 차원에서 최고의 상품임.
6. 대출을 장기로 저리로 빌릴 수 있고, 해당 대출을 통해 사업, 자산가격의 상승 등이 나오면 대출로 인한 레버리지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것임.
7. 특히 인플레이션이 있는 사회에서는 어느정도 대출을 받는 것이 유리함. 그 이유는 인플레이션이 존재하는 사회에서는 시간이 지날수록 통화가치가 하락하기 때문에 대출을 받은 채무자 입장에서는 오늘받은 1억이 10년 뒤의 1억과는 그 무게에 있어서 천지차이기 때문임.
8. 채권자 입장에서는 10년 뒤에 1억을 받게 되면 사실상 손해인 것임.
9. 이러한 대출의 레버리지 효과를 고신용자들만 누릴 수 있게 되다보니 아무래도 심한 자산격차의 차이가 앞으로는 더욱 더 심해질 것으로 보임.
반응형
'Fin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이 빚 돌려막기 중? 금리 폭등의 진짜 이유(Feat. 지금 사야 할 투자자산) (2) | 2025.04.12 |
---|---|
CCRS, IRL은 무엇인가(Feat. 회생, 신용회복, 법원 등) (3) | 2025.04.08 |
코스피 사이드카 발동(Feat. 미국 관세, 트럼프, VIX 지수, 국제무역론) (6) | 2025.04.07 |
월세가 유리할까? 전세가 유리할까?(Feat. 전월세전환율, 전세대출이자 등) (0) | 2025.04.04 |
기업들 줄도산 공포(Feat. 이화공영 회생신청, 회생신청시 대응방안, 미국금리) (4)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