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류경합시 추심명령과 전부명령의 효력을 알아보자(Feat. 압류의 경합, 추심명령, 전부명령)
2025. 6. 17. 16:32ㆍLaw
반응형
1. 채권에 대한 압류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함.
2. 우선 기본적으로 채권자들은 채권자평등의 원칙이 있기 때문에 평등하여야 함.
3. 하지만 전부명령을 잘 활용하면 사실상 우선변제를 받을 수 있음.
4.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피압류채권/집행채권의 개념부터 이해해야함.
5. 피압류채권은 압류의 대상이 되는 채권을 의미하고, 집행채권은 압류를 하기 위한 근거채권을 의미함.
6. 즉 집행채권의 만족을 위하여 피압류채권에 압류를 하는 것임.
7. 하지만 피압류채권에 여러 개의 압류가 걸리면 압류의 경합이 일어나는데, 피압류채권의 액보다 집행채권의 합계금액이 크면 압류의 경합이 일어남.
8. 압류가 경합되면 압류랑 같이 발령받은 전부명령은 무효가 되나, 추심명령은 무효가 되지 않음.
9. 이는 위에서 말한 전부명령의 사실상 독점적 만족 효과로 인한 것임.
10. 따라서 압류 및 전부명령을 받은 채권자는 해당 전부명령이 압류가 경합된 상태에서 떨어진 것은 아닌지 확인할 필요가 있음.
11. 압류가 경합된 상태에서 떨어지면 전부명령이 확정되었다고 하더라도 무효이기 때문.
반응형
'Law'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임대차계약 체결시 임대인에게 유리한 특약조항 분석(Feat. 재임대, 복비 등) (4) | 2025.06.23 |
---|---|
국채에 대해서 담보를 잡는 방법(Feat. 질권, 양도담보 등) (24) | 2025.06.18 |
주문의 형태별로 본 판결금 채권(Feat. 다수당사자, 분할채권, 불가분채권 등) (0) | 2025.06.17 |
일감몰아주기, 떼어주기 근황(Feat. 상속증여세법, 상증세법, 중흥그룹 등) (0) | 2025.06.09 |
압류의 경합과 전부명령에 대해서 알아보자(Feat. 민사집행법) (1) | 2025.06.05 |